서양음악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양음악사-중세음악(오르가눔) *오르가눔의 발생 : 9C말에서 13C중반까지 전례에 사용된 다성부 예배음악이다. 라틴어 '오르간'에서 유래가 되었다. 최초의 다성음악이고 a음 이상을 넘지 않도록 작곡이 되었고 임시표는 Bb만 허용되었다. *오르가눔의 종류 1.병행 오르가눔 : 9C경 나타났고 9C말에 쓰여진 에서 당시 다성음악 관습의 이론적 원리를 찾아볼 수 있다. 첨가된 성부를 성가 선율과 병행으로 불렀기 때문에 새로운 성부는 특별히 작곡되거나 기보될 필요는 없었다. 원래 성가인 주성부 아래에서 당시에 협화음으로 간주하는 4도, 5도, 8도의 음정 간격으로 또 하나의 성부를 중복시킨 오르가눔이다. 매거다이징 기법과 같다. 2. 복합 오르가눔 : 병행 오르가눔의 일종으로 주성부의 위와 아래로 중복시키는 것이 다르다. 옥타브 중복이 되.. 더보기 서양음악사-중세음악(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성가의 역사: 그레고리우스 1세 당시 각양각색의 서로 다른 전례의식과 성가의 전통이 난립하였다. 7C후반에 스콜라 칸토룸이 창설되었고 8C초반에 이르러 성가선율이 표준화 되었다. 암브로시우스 성가, 갈리코 성가, 모짜라비아 성가가 일부 통합되었다. 그레고리오성가의 음악적 특징 : 낭송식(Accentus), 노래식(Concentus)로 구분이 된다. 시편이 많고 나머지는 찬가창으로 이루어졌다. 가사음절의 배분은 음절적 노래, 성긴 음절노래, 드문 음절노래로 나뉜다. 음절적 노래(Syllabic)란 가사의 음절 하나에 한 음이 붙여진 것이다. 성긴 음절노래(Neumatic)란 가사 한 음절에 3~4음 정도 붙여진 것이다. 드문 음절노래(Melismatic)는 가사의 한 음절에 5음 이상의 음들이 붙.. 더보기 서양음악사 정리 - 고대 그리스 음악 신화의 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보면 아폴론과 디오니소스가 나온다. 아폴론은 진리의 음악, 의술의 신이고 그를 위한 제례에서는 키타라 반주에 의한 노래인 카티로디를 부르고 오드라는 시의 형식을 사용한다. 아폴론은 절제, 균형, 순수, 이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디오니소스는 포도주와 춤의 신으로 그를 위한 제례의식에는 아울로스 반주에 의한 노래인 아울로디가 사용되고 디티람브라는 가사시를 사용한다. 디오니소스는 열정, 광란, 절정을 묘사한다. 그리스인에게 음악은 여흥을 위한 예술이자 산술, 천문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과학이고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것이 특징이다. 기보법은 페니키아 문자를 이용한 기악용 기보법과 가사위에 이오니아의 알파벳 부호로 표시되는 성악용 기보법이 있다. 레스보스 출신 음악가에는 테르판토스.. 더보기 서양음악사 정리-고대음악(기원전~A.D.4C) 고대음악의 기원은 크게 네가지로 볼수 있습니다. 첫째, 정보 전달의 수단이었습니다. 둘째, 선사 인류의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었습니다. 셋째, 원시적 제례의 부산물로 음악이 사용되었습니다. 넷째, 노동 기원설을 들 수 있습니다. 인류 문명의 최초 발상지는 메소포타미아 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강과 인도의 인더스강, 이집트의 나일강 중국의 황하를 들 수 있습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음악은 실용적인 용도로 쓰였고 엔헤두안나(B.C.2300년경)라는 우르 지역에 거주하던 아카드의 고위 여사제가 있었는데 달의 신 난나와 달의 여신 이난나에게 바치는 찬미가를 작곡하였습니다. 현재 음악은 남지 않고 가사만 남아있습니다. 이 시기에 음악가는 대단한 존경을 받았고 그로인해 음악이 발달하며 바빌로니아 전성기에는 대규모의.. 더보기 이전 1 다음